목록분류 전체보기 (65)
혜야의 코딩스토리

☕Cozy Home Cafe 홈카페 소품 온라인 쇼핑몰 📌개발 목표 DB와 연동하여 CRUD 기능이 있는 웹서버 프로그램 구현 📌구현 기능 회원 관리 상품 관리 장바구니 관리 게시판 관리 📌개발환경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향후 개선사항 회원가입 시 아이디 중복확인 기능 구현 OK! 조건 별 상품 정렬 기능 구현 결제/주문 기능 구현 🎈깃허브 https://github.com/hyeya418/semi-project 🎈시연 영상 https://youtu.be/awX-Zp6oQH4

웹은 현재 작업중인 페이지에서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기 위해 2가지 페이지 전환 기능을 제공합니다. 오늘은 2가지의 페이지 전환 방법의 차이와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Forward 방식 [ Forward 방식 ] Forward는 Web Container 차원에서 페이지의 이동만 존재합니다. 실제로 웹 브라우저는 다른 페이지로 이동했음을 알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웹 브라우저에는 최초에 호출한 URL이 표시되고, 이동한 페이지의 URL 정보는 확인할 수 없습니다. 또한 현재 실행중인 페이지와 forward에 의해 호출될 페이지는 Request 객체와 Response 객체를 공유합니다. 위와 같이 Foward는 다음으로 이동 할 URL로 요청정보를 그대로 전달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

✏️JSP의 내장 객체request :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response : 서버의 응답session : 사용자의 인증 정보(로그인~로그아웃) 저장out : 웹 브라우저에 출력 처리application : 서버의 정보 저장exception : 에러 처리config : jsp의 환경 정보page : 현재 페이지✏️JSP 내장변수의 사용 범위pageContext : 현재 페이지request : 요청+응답 페이지 (2페이지 => form요청 페이지1, 응답 페이지1)session : 사용자 변수 (로그인~로그아웃 할 때까지 참조)✏️JSP의 개발 방식🎈Model1 방식 : JSP page 안에 자바 코드 작성 ( 요즘 사용 X)🎈Model2 (MVC 패턴) 방식 : jsp page 와 java code ..

✏️서블릿(Servlet) : 서버에서 실행되는 자바코드서블릿의 호출 방식get방식 => doGet() 실행post방식 => doPost() 실행web.xml을 이용한 서블릿 매핑 방법//web.xml : 배치기술서(deploy descriptor), jsp 프로젝트의 중요 정보들이 기록됨서블릿의 별칭서블릿 클래스 이름서블릿의 별칭서블릿을 호출할 url✏️ JSP(Java Server Pages) : server에서 실행되는 자바 웹페이지자바 기반 스크립트 언어자바의 기능을 그대로 사용 가능HTTP에 대한 클라이언트의 요청 처리/응답웹 애플리케이션에서 결과 화면을 생성할 때 주로 사용jsp는 내부적으로 servlet으로 변환되어 실행된다.jsp의 배포 디렉토리 : 이클립스에서 작업하는 폴더(개발용 폴..

✏️jQuery 자주 사용되는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 write less, do more 라는 캐치-프레이즈(catchphrase)를 내세움 코딩량이 매우 절감됨 2006 년 존 레식(John Resig)이 발표 https://jquery.com/download/ 에서 Download the compressed, production jQuery 3.x.x 선택 후 마우스 우클릭하여 "다른이름으로 링크 저장" 후 이클립스에 복사(/web02/src/main/webapp/include/jquery-3.x.x.min.js) ✏️jQuery 구조 $( function() { //jQuery 코드 블럭 // 실행할 코드 }); ✏️이벤트 처리 $(선택자).이벤트(함수); //한개의 이벤트 처리 $(선택자).bin..

✏️ document 객체 : 웹문서의 최상위 객체 id로 요소 찾기 : getElementById("태그의 id") 태그.innerHTML : 태그 내부의 내용 태그.value : 태그의 입력값 태그의 속성 변경 : 태그.src = "값" document.getElementById("img2").src = "poodle.png"; 태그의 스타일 변경 : 태그.style.속성이름 = "속성값"; document.getElementById("img2").style.color = "blue"; ✏️ window 객체 팝업창 열기 : window.open( url, 윈도우의 name, 옵션); 타이머 설정 : setTimeout(), setInterval() setTimeout( 코드, 밀리세컨드 ) 한번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