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코딩 (8)
혜야의 코딩스토리
[추상 클래스] -미완성 설계도. 미완성 메서드를 갖고 있는 클래스. abstract가 붙는다. abstract class Player { //추상클래스(미완성 클래스) abstract void play(int pos); //추상메서드(몸통{ }이 없는 미완성 메서드) abstract void stop(); //추상메서드 } -다른 클래스 작성에 도움을 주기 위한 것. 인스턴스 생성 불가 Player P = new Player( ); //에러. 추상클래스의 인스턴스 생성 불가 -상속을 통해 추상 메서드를 완성해야 인스턴스 생성 가능 class AudioPlayer extends Player { void play(int pos) { /* 내용 생략 /* }//추상메서드를 구현 void stop() { /*..
‘80년 초 소프트웨어의 위기 – 빠른 변화를 못 쫓아 감. 해결책으로 객체지향 언어를 도입 (절차적(순서대로) -> 객체지향) -> 코드의 재사용성이 높고 유지보수가 용이, 중복 코드 제거 객체지향 언어 = 프로그래밍 언어 + 객체지향개념(규칙) Oop (object-oriented programing)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객체지향 언어의 핵심개념] 1. 캡슐화 2. 상속 3. 추상화 4. 다형성*****가장 중요! 6장 2~3 반복 후(이해한 후) 7장(다형성까지 공부) 보기 // 6장~다형성 계속 반복하여 이해하기. 객체지향 언어 = 프로그래밍 언어 + 객체지향개념(규칙) -> 객체지향개념(규칙) 일단 외우기!!!! !!! ★★★★★ A4용지(2장분량)에 규칙의 개념을 요약한 후에 하루에 한번..
[메서드란?] 1. 작업단위로 문장들을 묶어서 이름 붙인 것. -> 반복되는 문장들을 메서드로 작성 2. 값(입력)을 받아서 처리하고, 결과를 반환(출력) 3. 하나의 메서드는 한 가지 기능만 수행하도록 작성해야 함. (의미 있는 작업단위로 나눠야 재사용이 용이하기 때문) 4. 메서드는 반드시 클래스 내에 존재해야 함. [메서드 장점] 코드 중복 제거, 코드 관리 용이, 코드 재사용 가능, 코드 간결(이해하기 쉬워 짐) [메서드 = 선언부 + 구현부] 반환 타입(작업결과 출력타입) + 메서드 이름(매개변수목록 : 작업에 필요한 값들(입력)) // 선언부 메서드 호출 시 수행될 코드 // 구현부 *메서드 작업에 필요한 매개변수(입력)는 0~n개 가능 *출력은 0~1개 가능 // 여러 값을 출력 받고 싶다면..
“배열은 같은 타입의 여러 변수를 하나의 묶음으로 다루는 것” Int[ ] score = new int[5]; // 5개의 int값을 저장할 수 있는 배열을 생성한다. 참조변수 score 0x100 -> 0x100 0 0 0 0 0 score[0] score[1] score[2] score[3] score[4] 타입[ ] 변수이름 = new 타입[길이]; // 배열의 선언과 생성을 동시에. 배열의 인덱스: 각 요소(저장공간)에 자동으로 붙는 일련번호 “인덱스의 범위는 0부터 ‘배열길이-1’까지” Int[ ] score = new int[5]; // 길이가 5인 int배열, 인덱스는 [0]~[4] [배열의 길이] “배열은 한번 생성하면 실행동안 그 길이를 바꿀 수 없다.” Int[ ] arr = new i..
연산자 : 연산을 수행하는 기호 피연산자 : 연산자의 연산 수행 대상 // “모든 연산자는 연산결과를 반환한다” [연산자의 우선순위와 결합법칙] 1. 산술 > 비교 > 논리 > 대입 : 대입은 제일 마지막에 수행된다. 2. 단항(1) > 이항(2) > 삼항(3) : 단항 연산자의 우선순위가 이항 연산자보다 높다. 3. 단항 연산자와 대입 연산자를 제외한 모든 연산의 진행방향은 왼쪽에서 오른쪽이다. [증감 연산자] 전위형 값이 참조되기 전에 증가시킨다. j = ++i; 후위형 값이 참조된 후에 증가시킨다. j = --i; “증감 연산자가 독립적으로 사용된 경우, 전위형과 후위형의 차이가 없다.” [형변환 연산자] 형변환이란? 변수 또는 상수의 타입을 다른 타입으로 변환하는 것 “(타입)피연산자” [자동 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