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꿈 : 멋진 개발자 🧸/Web (4)
혜야의 코딩스토리

☕Cozy Home Cafe 홈카페 소품 온라인 쇼핑몰 📌개발 목표 DB와 연동하여 CRUD 기능이 있는 웹서버 프로그램 구현 📌구현 기능 회원 관리 상품 관리 장바구니 관리 게시판 관리 📌개발환경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향후 개선사항 회원가입 시 아이디 중복확인 기능 구현 OK! 조건 별 상품 정렬 기능 구현 결제/주문 기능 구현 🎈깃허브 https://github.com/hyeya418/semi-project 🎈시연 영상 https://youtu.be/awX-Zp6oQH4

웹은 현재 작업중인 페이지에서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기 위해 2가지 페이지 전환 기능을 제공합니다. 오늘은 2가지의 페이지 전환 방법의 차이와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Forward 방식 [ Forward 방식 ] Forward는 Web Container 차원에서 페이지의 이동만 존재합니다. 실제로 웹 브라우저는 다른 페이지로 이동했음을 알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웹 브라우저에는 최초에 호출한 URL이 표시되고, 이동한 페이지의 URL 정보는 확인할 수 없습니다. 또한 현재 실행중인 페이지와 forward에 의해 호출될 페이지는 Request 객체와 Response 객체를 공유합니다. 위와 같이 Foward는 다음으로 이동 할 URL로 요청정보를 그대로 전달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
✏️ get 방식 get방식은 서버로부터 정보를 조회하기 위해 설계된 메소드이다. www.tistory.com/resources?name1=value1&name2=value2 -get방식은 요청을 전송할 때 필요한 데이터를 body에 담지 않고, 쿼리스트링을 통해 전송한다. -get방식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어떤 데이터를 전송하는지 노출되므로 보안상으로 좋지 않다. //쿼리스트링 : url의 끝에 ?와 함께 이름과 값으로 쌍을 이루는 요청 파라미터 get 특징 서블릿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는 데이터가 url 뒤에 name=value 형태로 전송된다. 여러 개의 데이터를 전송할 때는 '&'으로 구분해서 전송된다. get 요청은 캐시가 가능하다. get 요청은 브라우저 히스토리에 남는다. 보안이 취약하다..

✏️ XML XML은 EXtensible Markup Language의 약자로 HTML과 비슷한 문자 기반의 마크업 언어이다. XML은 HTML처럼 데이터를 보여주는 목적이 아닌, 데이터를 저장하고 전달할 목적으로만 만들어졌다. 1 kim 010-1234-5678 XML의 장점 사람도 컴퓨터도 쉽게 읽을 수 있다.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간에 문서 전송이 가능하다. 서로 다른 플랫폼 간에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다. HTML에서 데이터를 분리한다. 플랫폼 변경 프로세스를 단순화한다. XML의 단점 처리 응용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XML 구문이 중복된다. 데이터 구별을 위한 태그를 사용해 크기가 증가한다. JSON에 비해 파싱이 느리다. //파싱(Parsing) : 데이터를 형식에 맞도록 분석하는 과정 ✏️JS..